프로그래밍을 할 때 비동기 처리는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닙니다. 저마다의 어려움이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그 이유를 '낮은 예측성'에 들 수 있는데요. 아무리 잘 작성된 비동기 코드라 할 지라도 동기 코드에 비해 추론이 힘들 뿐더러 일관된 응답 처리 또한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동기 처리를 어렵게 하는 요소 중 하나인 race condition과 이에 대한 대안책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Race condition
경합 조건이라고도 하며 이것은 꽤 여러 군데에서 통용되는 개념입니다.
경합 조건은 시스템의 실질적인 동작이 다른 통제 불가능한 이벤트의 순서나 타이밍에 따라 달라지는 전자 장치, 소프트웨어 또는 기타 시스템의 조건이다. - Wikipedia
조금 더 쉽게 풀어보자면, 하나의 처리를 위해 다수의 작업이 (거의)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처리를 제어하는 입장에서 무엇이 먼저 완료될 지 예측하기 힘들다는 이야기입니다. 비동기 맥락에서 경합 조건은 주로 요청 순서와 응답 순서가 반드시 같지는 않음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function fetchA() {
fetch(url) //
.then((response) => console.log(`A: ${response}`));
}
function fetchB() {
fetch(url) //
.then((response) => console.log(`B: ${response}`));
}
fetchA();
fetchB();
위와 같이 fetchA()
, fetchB()
를 호출해도 콘솔에 A 응답, B 응답이 순서대로 출력된다는 것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때문에 이와 같은 특성이 비동기 상황을 보다 세심하게 처리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자 시나리오를 가정해보겠습니다.
- 인풋에 값을 입력하면
- 입력된 값에 따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가져온다.
- 가져온 데이터를 화면에 보여준다.
혹은
- 화면에 여러 버튼이 있고
-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데이터를 가져온다.
- 가져온 데이터를 화면에 보여준다.
프로젝트에서 검색이나 필터를 도입한다면 흔히 생각해볼 수 있는 시나리오입니다. 하지만 만약 이러한 상황에서 경합 조건이 발생한다면,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요? 첫 번째 예시를 코드로 옮겨 확인해보겠습니다.
// 1 ~ 2초 사이의 통신이 발생하는 네트워크 상황을 가정
function delayRandomly() {
const timer = Math.ceil(Math.random() * 2) * 1000;
return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resolve, timer));
}
const $input = document.getElementById('input');
let requestIndex = 0;
// input이 바뀔 때마다 데이터를 가져와 콘솔에 출력
$input.addEventListener('input', () => {
const index = ++requestIndex;
fetch(url)
.then(async (response) => {
await delayRandomly();
return response.json();
})
.then((data) => console.log(`요청 ${index}: `, data))
.catch((error) => console.error(error));
});
마지막 응답의 결과는 매번 바뀔 수 있기에 그대로 화면에 띄워주게 되면 결국 사용자는 기대와 다른 결과를 얻게 됩니다.
대개 반복되는 이벤트의 최적화를 위해 Debounce, Throttle을 활용하지만 이는 앞서 설명한 문제의 실질적인 대안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이 기술은 빈번하게 발생되는 동일 이벤트의 출력량을 조절할 뿐, 비동기적으로 가져올 데이터 간의 경합 조건을 해결해주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춰본다면 아마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민해보지 않을까 싶습니다.
- 이전 요청은 모두 무시하고 마지막 요청에 대한 응답만 처리해준다.
이와 같은 처리가 가능하도록 특정 시점의 요청 자체를 끊어버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어떨까요?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Web API가 바로 AbortController
입니다.
AbortController
AbortController
는 fetch
등의 웹 요청을 취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인터페이스이며 두 개의 주요 프로퍼티를 가집니다.
AbortController.signal
: 읽기 전용 프로퍼티이며 요청을 취소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인스턴스 객체입니다. 컨트롤러와 웹 요청을 이어주는 매개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AbortController.abort()
:signal
로 연결된 요청이 완료되기 전에 취소할 수 있는 메서드입니다.
사용법은 꽤 간단합니다. 우선 다음과 같이 컨트롤러를 생성해줍니다.
const controller = new AbortController();
그 다음 취소될 수 있는 요청을 보낼 때 signal
옵션을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fetch(url, {
signal: controller.signal,
});
이제 원하는 시점에 해당 요청을 취소해야할 때 컨트롤러의 abort()
를 호출해주면 됩니다.
controller.abort();
아까의 예시 코드에 AbortController
를 적용해보겠습니다.
let currentRequest = null;
let requestIndex = 0;
$input.addEventListener('input', () => {
if (currentRequest) {
currentRequest.abort();
}
currentRequest = new AbortController();
const index = ++requestIndex;
fetch(url, {
signal: currentRequest.signal,
})
.then(async (response) => {
await delayRandomly();
return response.json();
})
.then((data) => console.log(`요청 ${index}: `, data))
.catch((error) => {
if (error.name === 'AbortError') return;
console.error(error);
});
});
코드를 다시 정리해보면,
- 이벤트 호출 시
AbortController
생성 후 저장 fetch
요청을 보낼 때 저장된 컨트롤러의signal
을 옵션에 기입- input이 바뀔 때마다 이전에 저장된 컨트롤러가 있다면 연결된 요청은 취소
이전 요청이 다음 요청 전까지 응답에 대한 처리를 모두 마쳤다면 abort()
가 호출되어도 별다른 동작을 하지 않습니다. 반면 요청 사이에 간격이 좁아 이전 요청이 여전히 수행 중이라면 바로 취소되고 다음 요청의 수행만 유지합니다. 이로써 다수의 요청 간에 경합 조건을 발생시킬 여지를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하나의 요청이 취소되면 AbortError
를 던집니다. 이것은 error.name
에 맞게 적절한 예외처리를 해주면 됩니다.
Summary
사용자를 위한 UX를 고려하며 비동기 처리를 할 때, 단지 AbortController
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완벽한 대안이 될 수 없습니다. Debounce, Throttle을 활용해 불필요한 이벤트의 반복을 줄이고, AbortController
를 통해 응답 간의 경합 조건을 줄여준다면 관련된 비동기 처리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Reference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0.22] 초심자를 위한 React Testing Library (1) | 2024.01.08 |
---|---|
[21.10.02] TCP/IP (1) | 2024.01.08 |
[21.08.26] Web Event (1) | 2024.01.08 |
[21.08.06] 웹의 성능 (1) | 2024.01.08 |
[21.06.14] Prototype, 그리고 Class (1)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