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elopment46

[19.11.14] 대외활동 탐색. 슬슬 프로그래밍 공부를 하는 게 재밌어지기 시작한다. 아직 모르는 것이 너무도 많지만 그동안 익혀왔던 지식으로 막힌 문제를 풀어갈 때면 작은 성취감들을 느낀다. 그러고 보면 예전부터 나는 '문제적 남자' 혹은 여러 테스트 등, 퀴즈를 풀 듯이 머리 쓰는 것을 좋아했는데 현재 배우고 만드는 일들은 예전의 일들과 꽤 유사하다고 느낀다. 항상 유의해야겠지만 뭐든지 too much 하게 파고들지는 말자. 매일 내가 할 수 있는 만큼만, 꾸준히 하면서 버티고 또 버티자. 여러 개발자 관련 대외 활동을 알아보면서 내가 참여할 수 있을만한 프로그램들을 선정해보았다. 1.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42/SEOUL. 프랑스 에꼴 42를 벤치마킹 삼아 '프로그래밍 인재를 육성'한다는 목표 아래 시작된 정부 프로그램. 특전도 어.. 2024. 1. 6.
[19.11.12] TIL, 학교 면접 준비. 오늘을 정리할 내용이 꽤 많을 것 같다. 1. CLI (COMMAND LINE INTERFACE) 오늘날, 마우스와 키보드의 효과로 컴퓨터를 더욱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여전히 CUI는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속도가 빠르며, 접근성이 좋은 이유에서 강력한 툴이라고 한다. 맥(MAC) 환경에서는 터미널 앱을 이용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 커맨드 정리 ls: 현재 위치의 파일 보기 ls -al: 디테일한 정렬 cd [dir]: 해당 디렉토리 이동 cd ~: 홈 디렉토리 cd /: 최상위 디렉토리 cd . : 현재 디렉토리 ( .. : 부모 디렉토리) 파일 생성: touch [file name] dir 생성: mkdir [dir name] 삭제: 파일 - rm [file name] / r.. 2024. 1. 6.
[19.11.11] TIL, BASIC 과제 완료. 아직 수료 조건이 산더미처럼 남았겠지만 그래도 일단 첫 단추는 꿰었다. 근데 뭔가 강의를 계속 보고 공부를 해도 내것이 되는 느낌은 좀체 들지 않는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겠지. 하루하루 기록해 나가는 것들이 글뿐만 아니라 내 머릿속에도 길이 남기를 바란다. 1. 오늘 사용한 메소드 arr.includes(searchValue) : array안에서 해당 원소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메소드. '\n' : 줄 바꿈 문자, 결국 문자열이기 때문에 ''를 붙여주어야 한다. arr.slice(start, end) : start나 end가 음수인 경우를 배웠다. 2. 함수형 프로그래밍 내일은 과제를 한번 더 훑어보면서 이해가 안 되는 메소드는 따로 정리해서 외우고, 그다음 Step으로 넘어가야겠다! 2024. 1. 6.
[19.11.10] TIL (X), YIL. YIL... Yesterday I Learned. 습관을 만들고, 관성으로 자리 잡기까지 평균 66일이 걸린다고 어디선가 본 적이 있다. 지금 내게 중요한 것은 더 좋은 퀄리티의 교육도, 환경도 아닌 꾸준히 이어갈 수 있는 습관을 만들기이다. 매번 주어지는 하루는 다를지라도 원하는 바를 이뤄내고 싶다면 우선순위를 잊지 말고 매일을 처음 시작한 것처럼 살자. 1. 여러 가지 메서드 메서드 정리. 2. 함수형 프로그래밍 forEach, map, filter, reduce에 관해 배우고 과제로 익혔지만 아직 맥락이 이해되질 않아 내 것으로 되지 않았다. 부족하거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내일 한번 더 복습한 후에 다시 다루도록 해야겠다. - 내일이면 Pre course 2주 차다. Basic 과제를 일주일 만.. 2024.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