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4

[20.12.06] 2020년 회고 살면서 두 번째의 전환기를 맞이했고, 곧 다가올 새로운 이벤트들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는 중이다. 회고성 글은 나도 모르게 그 때의 감정에 빠져 쓰게되는 글들이 나중에 내 얼굴을 붉힐까 봐 웬만하면 쓰지 않으려 하지만, 일 년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현재 나의 위치와 앞으로 해야할 일들을 더 명확히 알 수 있고 후에 나의 경험을 어필하는 자리에서 더 생생하게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기 때문에 한 번 쯤은 기록해야겠다, 싶었다. 주저리주저리 다 쓰는 것보다는 최대한 나의 행보와 그 이유들에 대해 간략하게만 다시 돌아 보고, 내년의 나는 어떤 식으로 살아갈 것인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다. 영어 학원 (19.12 - 20.03) 사실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점에서 큰 두려움이 있었다기보다는, 내가 다시 낯선 사람들.. 2024. 1. 6.
[19.11.26] TIL, pre course 과제 완료. 마지막 recursion 과제를 남겨두고 정말 머리를 오래도록 싸맸던 것 같다. 분명 무엇을 이용해서 풀어야할지도 알겠고, 감도 잡히는데 미치도록 풀리지 않았다. 고생도 많았지만 그렇기에 머리에 더 남을 것이라 희망하며 복습을 시작하겠다. recursion 과제의 핵심은 '재귀함수'를 이해하느냐, 가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개념을 간단히 서술해 보자면 함수 안에 같은 함수를 사용하여 일종의 loop을 만들어주고,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면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함수를 만드는 것이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반드시 탈출구(!)를 만들어주어 무한루프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비슷한 방식으로 for반복문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내용의 가독성과 운용의 효율성을 위하여 여러가지 방면(특히 함수 프로.. 2024. 1. 6.
[19.11.19] TIL 1. 삼항 연산자 처음엔 이 연산식을 보고 도대체 뭘 의미하는 걸까, 의아했다. if, for, while문을 줄곧 작성했던 터라 바로 질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삼항 연산자는 문자 그대로 '세 개의 피연산자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는 수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좀 더 직관적으로 식을 그대로 가져와 얘기를 하자면, 이렇게 볼 수 있다. 알아놓고 있으면 코드를 더 간결하게 쓰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2. DOM(Document Object Model) HTML, CSS, JS를 연결할 수 있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DOM 자체가 JS 언어의 한 부분이라고 볼 수는 없다. 간단하게 지금까지 배운 개념과 메소드에 대해 복습해 보겠다. document.querySelector(); HTML.. 2024. 1. 6.
[19.11.17] TIL, 개인 코드 리뷰. 현재 나는 array의 내장 메소드를 이용하지 않고 함수를 새로 작성하여 기존의 메소드와 동일하게 작동이 되게끔 만드는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위의 코드는 그 중 하나의 코드를 발췌한 것이다. -테스트 케이스 input으로 주어진 element를 차례대로 iterator에 넘겨줄 수 있어야 한다. iterator가 undefined를 return 하더라도 계속해서 iterator를 실행시킬 수 있어야 한다. Accumulator가 주어지지 않았을 때는 input으로 주어진 배열의 첫번째 값을 accumulator로 사용해야 한다. Accumulator가 주어지지 않았을 때는 배열의 두번째 값부터 iterator에 넘겨줄 수 있어야 한다. 위 테스트 케이스를 기반으로 코딩을 하며 내가 중점적으로 생각한 건.. 2024. 1. 6.
[19.11.14] 대외활동 탐색. 슬슬 프로그래밍 공부를 하는 게 재밌어지기 시작한다. 아직 모르는 것이 너무도 많지만 그동안 익혀왔던 지식으로 막힌 문제를 풀어갈 때면 작은 성취감들을 느낀다. 그러고 보면 예전부터 나는 '문제적 남자' 혹은 여러 테스트 등, 퀴즈를 풀 듯이 머리 쓰는 것을 좋아했는데 현재 배우고 만드는 일들은 예전의 일들과 꽤 유사하다고 느낀다. 항상 유의해야겠지만 뭐든지 too much 하게 파고들지는 말자. 매일 내가 할 수 있는 만큼만, 꾸준히 하면서 버티고 또 버티자. 여러 개발자 관련 대외 활동을 알아보면서 내가 참여할 수 있을만한 프로그램들을 선정해보았다. 1.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42/SEOUL. 프랑스 에꼴 42를 벤치마킹 삼아 '프로그래밍 인재를 육성'한다는 목표 아래 시작된 정부 프로그램. 특전도 어.. 2024. 1. 6.
[19.11.12] TIL, 학교 면접 준비. 오늘을 정리할 내용이 꽤 많을 것 같다. 1. CLI (COMMAND LINE INTERFACE) 오늘날, 마우스와 키보드의 효과로 컴퓨터를 더욱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여전히 CUI는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속도가 빠르며, 접근성이 좋은 이유에서 강력한 툴이라고 한다. 맥(MAC) 환경에서는 터미널 앱을 이용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 커맨드 정리 ls: 현재 위치의 파일 보기 ls -al: 디테일한 정렬 cd [dir]: 해당 디렉토리 이동 cd ~: 홈 디렉토리 cd /: 최상위 디렉토리 cd . : 현재 디렉토리 ( .. : 부모 디렉토리) 파일 생성: touch [file name] dir 생성: mkdir [dir name] 삭제: 파일 - rm [file name] / r.. 2024. 1. 6.